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가티르급 방호순양함

덤프버전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일전쟁 및 제1차 세계 대전의 러시아 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어뢰정페르노프
구축함프로젝트 35노트형,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 프로젝트 마트로소프 1917년형
잠수정 / 함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경순양함알마스급, 스베틀라나급
장갑순양함게네랄 아드미랄, 미닌,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드미트리 돈스코이,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파먀티 아조노바, 로시야,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방호순양함디아나급(아브로라함), 바랴그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노빅급, 바가티르급, 이주므루드급
군수지원함/구난함콤무나
순양전함프로젝트 707형, 이즈마일급
전함전드레드노트급예카테리나 2세급, 나바린,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아드미랄 우샤코프급 전함, 체자레비치, 보로디노급, 로스티슬라브,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레트비잔,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드레드노트급프로젝트 스크벗소바 1907년형, 강구트급,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프로젝트 코스텐코 1917년형
취소선: 건조 취소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해군 함선
어뢰정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잠수정 / 함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호위함타코마급 호위함US
구축함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 오피트니급,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그녜브니급, 스따라졔보이급, 레닌그라드급, 민스크급, 타슈켄트급, 프로젝트 30형, 키예프급, 프로젝트 35형, 프로젝트 36형, 프로젝트 37형, 프로젝트 40형, 프로젝트 24형
기뢰전함마르티급, 프로젝트 253L형
순양함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틀라나급, 차파예프급, 무르만스크급US, 팔라다급, 바가티르급, 프로젝트 28형, 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94형, 소형 경순양함
모니터함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군수지원/구난함콤무나
순양전함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전함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프로젝트 21형, 프로젝트 A형, 프로젝트 1058형US,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프로젝트 24형
항공모함훈련함 재건조 계획, 프로젝트 71형, 프로젝트 72형, 체펠린노획, 프로젝트 69AV형, 프로젝트 23형 전함 재건조 계획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 C: 전후 완공, 윗첨자 UK/US: 영국/미국 해군에서 도입, 윗첨자 노획: 전쟁 중 노획한 함선






파일:Bog_karta.jpg
Бронепалубные крейсера типа «Богатырь»

1. 개요
2. 제원
3. 동형함
4. 미디어 등장
5. 관련 링크
6.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바가티르는 러시아 해군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방호순양함으로 알려졌다. 종합적인 밸런스의 장점들과 수많이 탑재된 주포에 우수한 방어를 갖추고 , 주포의 일부를 포탑에 탑재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계획안을 토대로 건조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구경은 작지만, 사거리가 더 길고 연사력이 더 뛰어난 소구경 함포(130mm)로 재무장하였다.


2. 제원[편집]


1번함 바가티르함 제원
사용자러시아 제국 해군, 소련 해군
종류방호순양함
선행함-
후속함-
건조 시작1899년 12월 22일
진수 시작1901년 7월 30일
취역/운용 개시1902년 8월 20일
퇴역/스크랩 완료1918년 / 1922년
계획5척
취소1척
완성4척
퇴역3척, 1척 침몰
기준 배수량6,410톤
만재 배수량7,428톤
길이134.1 m
16.6 m
흘수6.3 m
속력23.5노트
항속거리3,000 해리/(6,000 km; 3,728 mi) 12노트로 순항시
승무원581 명
무장단장 152mm(6인치) 45구경장 패턴 1892 함포 8문
단장 152mm(6인치) 45구경장 패턴 1892 함포 4문[1][2]
단장 75mm(3인치) 50구경장 패턴 1892 함포 12문
단장 47mm(2인치) 43구경장 QF 3파운더 대공포 8문
단장 37mm(1.5인치) 23구경장 대공포 2문
381mm(15인치) 어뢰 발사관 4문
장갑현측장갑: 35 ~ 70 mm
함교: 140 mm
갑판: 80 mm
포탑: 127 mm


3. 동형함[편집]


1번함 바가티르 (Богатырь, Bogatyr): 1902년 완공, 러일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참가, 1918년 퇴역, 1922년 스크랩.

2번함 올레그 (Олег, Oleg)
: 1904년 완공, 러일전쟁 참가, 발트함대 소속, 쓰시마 해전 도중 전열 이탈, 당시 중립국 미국령 필리핀 마닐라를 거쳐 귀국[3]. 제1차 세계 대전 참가, 러시아 혁명 당시 반혁명 간섭군으로 개입한 영국 어뢰정에 의해 격침.

3번함 카굴 (Кагул, Kagul) ➡️ 오차코프(Очаков, Ochkov) ➡️ 게네랄 코르닐로프(Генерал Корнилов, General Kornilov)
: 1905년 완공, 적백내전 때 백군 소속으로 운용되었다. 1920년 당시 프랑스령이던 튀니지로 망명 후 매각 스크랩.

4번함 파먀티 메르쿠리야(Памят Меркурия, Pamyat Merkuriya) ➡️ 코민테른(Коминтерн, Komintern)
: 1907년 완공, 적백내전 때에도 살아남았으나 1942년 독일 공군의 공격으로 격침당했다. 1925년 전함 포템킨의 일부 장면을 이 함에서 촬영했다(선실 내부 장면).

5번함 비타즈 (Витязь, Vityaz): 건조 취소됨


4. 미디어 등장[편집]


파일:external/api.worldofwarships.eu/PRSC103.png파일:PRSC503_435×256.png
바가티르올레그
월드 오브 워쉽에서 소련 정규 순양함 3티어로 2번함인 올레그가 프리미엄 순양함 3티어로 등장한다.

Naval Front-Line에 소련 경순양함으로 등장한다. 함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십자가 모양의 발사방향을 갖는 배치의 어뢰발사관이 특징.그리고 그놈 참 딥다리 못생겼다.

벽람항로에서는 러시아 진영 이벤트 '동절의 북해'에서 파먀 메르쿠리야가 SR 등급 경순양함으로 등장했다.

5. 관련 링크[편집]


https://en.wikipedia.org/wiki/Bogatyr-class_cruiser
(러시아어 위키백과)Бронепалубные крейсера типа «Богатырь»


6.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0:12:38에 나무위키 바가티르급 방호순양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연장으로 포탑 2기에 배치[2] 나중에 모든 152mm는 130mm 55구경장 B7 패턴 1913 함포로 교체된다[3] 당시 여정을 함께 했던 동료함으로 아브로라가 있다.